JavaScript 썸네일형 리스트형 200728_Data Structure (graph, tree, bst), 시간복잡도 오늘 배운 것. 무방향 그래프, 트리, 바이너리 서치 트리 코드로 구현. BIg O notation을 이용한 시간복잡도 표현 O(1) - O(log n) - O(n) - O(n log n) - O(n^2) - O(n^3) - O(2^n) 순으로 복잡도 올라감. 더보기 200723_Data Structure 오늘 배운 것. Queue와 Stack의 차이점 이론상의 Queue와 Stack을 코드로 구현하는 방법 데이터를 Array가 아닌 Object의 담아 구현하는 이유 Array 메소드 pop, push, shift, unshift를 쓴다면 훨씬 코드 구현이 쉬워지지만 배열 메소드들은 모든 배열의 요소를 돌기때문에 O(n)의 시간복잡도를 갖는다. 하지만 Object로 구현한다면 정확한 타켓팅이 가능해서 O(1)의 시간 복잡도를 갖는다. 아래 링크로 Queue를 Object로 구현하는 법에 대해 상세한 설명이 있다. https://medium.com/@mayashavin/ds-queue-implementation-in-js-21ea5914c428 DS — Queue implementation in JS Eve.. 더보기 [JavaScript] this, call, apply, bind Reference - 자바스크립트 심화개념 in 코드스테이츠 프리코스 this는 실행 컨텍스트 (Execution Context)에 속한다. 어떤 함수가 호출되면, 실행 컨텍스트가 생성되고 call stack에 메모리를 push하고 함수를 벗어나면 call stack에서 pop한다. 실행 컨텍스트는 Scope 별로 생성되고 그 안에는 Scope 내 변수 및 함수 (Local, Global), 전달 인자 (arguments), 호출된 근원 (caller) 그리고 this가 있다. 'this' keyword this는 모든 함수 scope 내에서 자동으로 설정되는 특수한 식별자로 위에서 말한 실행 컨텍스트의 구성 요소 중 하나이다. this는 함수가 실행되는 동안 이용할 수 있다. 5 Patterns of .. 더보기 [JavaScript] 스코프 - 함수/변수를 선언할 때 주의해야 되는 4가지 코드스테이츠 프리코스에서 자바스크립트 핵심 개념 - 스코프 강의에서 나온 내용들을 다시 정리해보았다. 강의를 통해 var를 이용한 선언과 전역 범위에서 이루어지는 선언이 왜 위험한지 이해하고 넘어갈 수 있었다. 스코프(Scope)란? 변수는 어떠한 환경 내에서만 사용 가능하며, 프로그래밍 언어는 각각의 변수 접근 규칙을 갖고 있는데 변수와 그 값이, 어디서부터 어디까지 유효한지를 판단하는 범위가 바로 스코프이다. 다시 말해, 변수 접근 규칙에 따른 유효 범위를 스코프라 칭한다. JavaScript에서는 기본적으로 함수가 선언되는(lexical) 동시에 자신만의 Scope를 가진다. Rule 1: Local Scope vs. Global Scope 함수 안에 함수를 넣을 수 있으므로 스코프는 중첩이 가능하.. 더보기 이전 1 2 3 다음